지금까지 한번도 안 해본 일을 해봤다. 구글에 내 이름을 쳐본 것이다. 그런데 내 블로그가 검색결과 1위에~^^ (물론 이정도 갖고 좋아하는 것은 루나모스님 앞에서는 번데기 앞에서 주름잡는 일이다^^)
그런데 신기한 것은, 내 영문 블로그인 Web 2.0 Asia 에는 “김창원” 이라는 한글 단어가 단 하나도 들어있지 않고, Web 2.0 Asia 에서 내 국문 블로그를 참조한 글도 트랙백 한두개 빼고는 없는데도 불구하고 구글 검색순위에 Web 2.0 Asia 가 들어있다. 타고 넘어가는 리퍼러 체크를 하는 것일까? 아무튼 기술을 모르는 나로써는 신기할 따름이다…
trackback from: discount phentermine
news
@halfmoon – 2007/01/03 16:30
아하~~~이제서야 이해가 되네요… 감사합니다 Channy님 Halfmoon 님~
덧. 새해복많이받으세요~!
이건 태우님에게 키가 있습니다 ^^
http://twlog.net/wp/index.php?paged=2 여기서 링크하실때 "김창원"으로 위의 "web 2.0 asia"를 링크 하셨더군요^^
이걸 저희쪽에서는 anchor text라고 합니다.
태우님에게 감사하셔야 할듯…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CK – 2007/01/03 15:42
어떤 웹 문서에 영어와 한글이 섞여 있다면 백악관과 White House가 같이 나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컴퓨터는 이런 패턴을 스스로 학습(Machine Learning)합니다. 이런 기계 학습 알고리듬은 자동 번역의 기초가 되는 것이죠. 백악관이 White House로 링크 되는 경우가 많겠죠. 즉, 김창원이라는 글이 들어간 곳에서 Web2Asia.com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그런것입니다. "Web 2.0 Asia"라고 검색하면 역의 경우는 성립하지 않습니다. (계산 결과는 한 방향이라는 이야기 입니다.)
생각해보지 못했는데 신기하네요.
저는 웹에서 실명을 사용한 적이 없어서 이름 검색 결과를 보기는 어렵네요^^;
@Channy – 2007/01/03 15:33
그 "링크의 가중치" 가 뭘까요? @$&^@%^%(
백악관을 치면 White House 홈페이지가 나오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링크의 가중치로 관계를 정하는 것이죠.
신기하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