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sical.ly

musical.ly는 미국에서 10대들에게 요새 인기있는 앱 중의 하나. 배경음악에 맞춰서 “립싱크” 를 하는 영상을 찍어서 공유하는 엔터테인먼트 앱. 이 “소셜 립싱크” 기능 하나로 현재 7000만 이상의 사용자를 확보하고 있으며 특히 미국시장에서 인기가 있다고 함. 얼마전 5000억 밸류에 1000억 투자를 유치. 투자한 회사중 하나인 GGV 캐피털은 중국과 미국을 연결하는 대표적인 투자회사로 유명. 그런데 이 회사에 대해서 … Continue reading Musical.ly

기득권

2000년대 초반, 어떤 금융권 회사가 외국계 회사로 M&A 되었다. 이 딜을 주도했던건 다름아닌 기존 경영진. 그들은 자신들이 경영을 잘 못한 결과 회사가 어려워진 건데도 불구하고, 돌파구와 대안을 안에서 찾기보단 밖에서 찾았다. 물론 기업 경영에 있어서 매각이나 합병을 통해 돌파구를 찾는것이 결코 잘못된 선택은 아니다. 문제는 과정이었다. 회사를 외국계 자본에 넘기는 과정에서, 기존 경영자들은 초보자의 실수를 … Continue reading 기득권

소프트웨어가 집어삼키는 미래

(기고글) 실리콘밸리의 유명 투자가이자, 넷스케이프를 창업해서 인터넷 시대를 도래하게 한 장본인이기도 한 마크 앤드리슨 (Marc Andreessen) 은 2011년 월스트리트 저널 기고문을 통해 “소프트웨어가 세상을 집어삼키고 있다 (Software is eating the world)” 는 유명한 말을 남겼다. 그의 말대로 소프트웨어는 현재 세상을 집어삼키고 있다. 실리콘밸리의 파급력은 그동안 기술 자체의 개발에 있어왔다. 실리콘밸리 회사들은 반도체를, 그 이후로는 컴퓨터와 … Continue reading 소프트웨어가 집어삼키는 미래

Everybody has an idea until getting punched in the face

근래 들은 말중에 와닿는 말: “얼굴을 주먹으로 맞기 전에는, 누구나 다 생각이란게 있다.” (Everybody has an idea until getting punched in the face) — Mike Tyson 맞아야 정신을 차린다, 라는 말도 있듯이. 사람은 평상시가 아니라 위기시에 진정한 에너지가 나오게 되는법. 그래서 대기업이 위기를 늘 만드는 거겠지만, 그것이 언제나 통하는건 아닌게, 사람들의 고통에 대한 threshold는 계속 … Continue reading Everybody has an idea until getting punched in the face

순다 피차이 구글IO 인터뷰

(구글이 남들 따라하는거 아니냐는 질문에 대해, 구글 CEO인 순다 피차이 답변) “기억해야 할 점이, 구글 검색엔진도 최초의 검색엔진은 아니었다는 거죠. 기존에 존재하던 시장이었지만 뭔가를 다르게 할 여지가 있었기에 구글 검색엔진을 개발했던 거고, 이메일, 온라인 지도서비스, 웹 브라우저등 각각 다 마찬가지였어요.” “It’s important to understand we weren’t the first company in search,” says Pichai, 43, tall and … Continue reading 순다 피차이 구글IO 인터뷰

넥스트 유니콘

“넥스트 유니콘을 찾고 싶은가? 대부분 사람들이 얘기하는 (buzz) 분야가 아닌, 다른 분야를 찾아볼것. 어떤 회사가 다음 유니콘이 될지는 말할수 없지만, 분명히 말할수 있는건 아마 누구나 예측할수 있는 분야가 아닌, 엉뚱한 분야에서 나올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Want to find the next unicorn? Listen to where the buzz is coming from and run the other way. I can’t … Continue reading 넥스트 유니콘

“아웃풋에 대해서 스스로 책임을 져야죠”

“우리는 직원들 감시하지 않아요. 그건 좋은 문화가 아니라고 생각해요. 좋은 인재를 고용했다면 그들은 아마 누군가가 감시하지 않더라도 스스로에게 엄격한 기준을 적용할 거에요. 자기들의 아웃풋에 대해서 스스로 책임을 져야죠.”  “We don’t police. We just don’t think it’s the right attitude. If you hire the right people, they will police themselves,” says Mittal. Instead the employees must … Continue reading “아웃풋에 대해서 스스로 책임을 져야죠”

아마존은 $3T 회사가 될수 있을 것인가?

아직 시가총액 1,000조짜리 회사 ($1 trillion) 가 나오지 않았는데, 아마존이 10년 안에 $3 trillion 회사가 될것이라는 글. 어떻게 그것이 가능? 아마존은 e커머스 회사, 리테일러가 아니라 “에코시스템” 이라는것. (“Again, while Amazon competes with retailers, Amazon is NOT a retailer. It’s not even a technology company.  Amazon is an ecosystem.”) AWS가 백엔드를 책임지고, Echo 같은 디바이스들이 생활 … Continue reading 아마존은 $3T 회사가 될수 있을 것인가?

Startup growth 몇가지 quote들

“스타트업은 곧 성장을 의미하고, 성장은 사용자들이 원하는 것을 이루기 위한 단계의 최대한 쉽게 만들어 주는 것이다.”Startups = growth. And growth = friction, removed.  “사람들이 이미 원하는 것, 그중에서도 역사상 오랜 기간동안 존재해 왔던 욕구를 찾아내서, 기술의 힘을 빌어 그걸 좀더 편하게 만들어 줄수 있는지, 생각해 볼것.”Take a human desire, preferably one that has been around … Continue reading Startup growth 몇가지 quote들

왜 미국엔 매장 포인트 프로그램이 많지 않을까

개인적으로 써보진 않았는데 도도포인트라는 서비스 운영하는 회사가 투자를 받았다는 기사를 봤다. 그걸 보고 든 생각. 우리나라엔 해피포인트부터 캐시백 등등 각종 적립 프로그램들이 많이 있는데 미국에서는 이곳 샌프란에 Five Stars 정도가 있는듯하고 그마저도 사람들이 열광적으로 많이 이용하지는 않는것 같다. 그마저도 사용하는데가 주로 카페나 음식점 등이고, 주유소 같은데를 보면, 서울에 있을때는 아무것도 아닌것 같아도 세차 포인트라도 주는 … Continue reading 왜 미국엔 매장 포인트 프로그램이 많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