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으로 행복을 사는 방법

“돈이 행복을 살수 있는가?” 라는 질문은 비단 드라마의 주제일뿐 아니라, 엄연히 사회과학 분야의 학자들이 논문 주제로 삼는 연구의 영역이기도 한 듯하다.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돈으로 행복을 살 수 있다는 것. 근데 그 조건은 — 자신이 아니라 남들에게 돈을 쓸 때라고 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사람들은 자기 자신이 아니라 다른 사람에게 돈을 사용할 때 더 큰 … Continue reading 돈으로 행복을 사는 방법

스타트업 = 불확실성의 제거 과정

흔히 운으로 성공했다는 말을 하는데, 그건 종종 겸손의 말이다. 만일 어떤 사람이 진짜 100% 운만으로 성공했다면 그건 결국 결과를 전혀 예측하지 못한 상황에서 정말 의외의 좋은 결과가 나왔을 때일 것. (마치 눈 감고 해프라인에서 농구공을 던졌는데 골대에 쏙 빨려들어갈 때의 상황?)그럼 반대로 100% 실력으로 성공한다는 얘기는, 이를테면 스타트업에 적용해 보자면, 결과를 스스로 예측하지 못하는 상황 … Continue reading 스타트업 = 불확실성의 제거 과정

트위터의 흑역사

상장을 앞둔 트위터의 경영진과 초기 모양새에 대한 이런저런 이야기들이 재조명되고 있는데, 어떤 회사든 소설책 한두권은 그냥 나오게 마련이지만 이 회사는 자세히 들여다보면 거의 막장 드라마 수준. 물론 정말 내부인이 아닌 이상에야 어디까지가 진실이고 어디까지가 “카더라 통신”인지 모르겠지만, 대략 이런 이야기들이 불거져 나오고 있음. 초기에 제품 개발을 주도했던 사람중 한명인 노아 글래스는 땡전 한푼도 못 받고 … Continue reading 트위터의 흑역사

탐 클랜시 인용

유학와서 영어 배우던 시절, 탐 클랜시의 두꺼운 소설책을 페이퍼백으로 가끔 사서 읽곤 했었다. 이왕이면 싼값에 페이지가 많고, 그러면서 페이지 넘길만한 재미도 있는 책을 고르다 보니 자연스레 고르게 되었던 것. 지금도 아마 손때묻은 페이퍼백 소설 한권쯤은 책장 어딘가에 꽂혀 있을지도 모르겠다. 그런 그가 엊그제 별세했다고 한다. 고인의 명복을 빈다. 그가 말했고, Om Malik이 그의 블로그에 인용한, … Continue reading 탐 클랜시 인용

리베라의 눈물

어제 저녁에 있었던 뉴욕 양키스 투수 마리아노 리베라의 마지막 홈경기는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코끝이 찡해지는 큰 감동을 느끼게 해 주었다. 19년동안 한결같이 양키스의 간판 구원투수로 등판하던 그가, 90년대부터의 양키스 전성시대를 같이 이끌던 동료 앤디 페티트와 데릭 지터에게 양키 스타디움에서 마지막으로 공을 넘겨주는 순간, 그의 머릿속에는 과연 어떤 생각들이 주마등처럼 흘러갔을까. 이 감동적인 장면을 전하면서, TV … Continue reading 리베라의 눈물

오픈 코스: 스타트업 엔지니어링

코세라 (Coursera) 에는 미국 유명 대학에서 가르치는 수많은 오픈 강좌들이 등록되어 있지만 그중에서도 온라인 스타트업을 생각하는 “비 개발자” 분들에게 추천하고 싶은 코스 하나를 소개하고자 한다. 코스 제목은 “스타트업 엔지니어링”. 링크는 이곳을 참고. 실제 스탠포드 교수가 실리콘밸리 스타트업에서 최근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각종 기술에 대해서 개괄적으로 소개하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코스다. 전통적인 컴퓨터 프로그래밍 코스처럼 연산자의 정의, … Continue reading 오픈 코스: 스타트업 엔지니어링

한 3년 안망하고 버틴다는 말의 의미

성공한 스타트업 이야기를 들어보면 “한 3년 안망하고 살아남으니까 기회가 오더라”는 말을 자주 듣게 된다. 이 말의 의미를 생각해 보자면… 1. 초기 기업은 기본적으로 “거의 왠만하면 당연히 망하게 되어 있는” 기업이다. 그래서 일단 살아남아야 한다는 얘기는 리스크 팩터를 줄여야 한다는 얘기. 스타트업에게 가장 큰 리스크 팩터는 돈과 사람이다. 돈 떨어지면 당연히 망하는 거니까, 초기 기업일수록 돈이 … Continue reading 한 3년 안망하고 버틴다는 말의 의미

beGlobal 참관 – 느낀점

지난주 금요일에 열린 beGlobal 컨퍼런스에 패널로 참여하면서 개인적으로 가장 인상깊었던 부분은 우리나라 웹/모바일 스타트업들의 영어 피치 실력이었다. 실리콘밸리에 있으면서 이곳의 피치 이벤트를 가끔 갈 기회가 있는데, 이번 beGlobal에서 발표한 우리나라 스타트업의 피치 수준은 정말 전세계에서 모인 수준급 인재들로 구성된 스타트업 데모데이의 발표에 비해서 전혀 손색이 없었다. 그동안 우리나라에서 시작된 웹/모바일 스타트업 중에서, 이곳 실리콘밸리로 거의 … Continue reading beGlobal 참관 – 느낀점

스타트업 리크루팅 (투자가, 어드바이저, 직원)

스타트업에서 관심있는 사람을 투자가, 어드바이저, 직원 등으로 끌어들이고 싶으면 먼저 그 사람에게 자기 회사에 대한 진심어린 조언을 구해 볼것. 몇가지 장점이 있으니.. 누구나 “조언을 주는 사람 (어드바이저)” 라고 불리는 것을 좋아하며, 대부분의 양식있는 사람이라면 stupid 한 느낌을 주고 싶지 않으므로 제대로 된 조언을 주고 싶어할 것이고, 그 와중에 해당 회사에 대해서 연구하고 고민하게 된다. 그 … Continue reading 스타트업 리크루팅 (투자가, 어드바이저, 직원)

빅 플립: 전업주부 아빠, 돈 벌어오는 엄마

“빅 플립” 이라는 재미있는 다큐멘터리 프로젝트를 기사를 따라가서 보게 되었다. 현재 미국 가정의 40% 가까이의 경우 아내가 남편보다 더 수입이 높은 가정이라고 한다. 어린 아이들이 있는 가정의 경우, 돈벌어올수 있는 능력이 더 높은 (higher earning potential) 엄마가 밖에서 일을 하고 남편은 전업주부 역할을 하는 가정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 아마 우리나라도 이와 사정이 크게 다르지 않거나 … Continue reading 빅 플립: 전업주부 아빠, 돈 벌어오는 엄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