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인터뷰
“창사 이래 사업 계획을 세워본 적이 없어요. 물론 큰 틀은 있죠. 멋진 미디어 그룹이 돼야겠다는(웃음). 그런데 미디어 사업 하면서 한 번도 제 사업 계획과 맞은 적이 없어요. 많은 기회가 흘러갈 때 잡을 수 있도록 준비하는 것 뿐이에요. 큰 그룹이 되면 언젠가는 사업 계획을 세울 날이 올까요(웃음). 아무튼, 현재는 저는 직원들에게 보고서 만드는 것도 못하게 해요. … Continue reading NEW 인터뷰
“창사 이래 사업 계획을 세워본 적이 없어요. 물론 큰 틀은 있죠. 멋진 미디어 그룹이 돼야겠다는(웃음). 그런데 미디어 사업 하면서 한 번도 제 사업 계획과 맞은 적이 없어요. 많은 기회가 흘러갈 때 잡을 수 있도록 준비하는 것 뿐이에요. 큰 그룹이 되면 언젠가는 사업 계획을 세울 날이 올까요(웃음). 아무튼, 현재는 저는 직원들에게 보고서 만드는 것도 못하게 해요. … Continue reading NEW 인터뷰
글로벌 메신저 MAU 추이: 세계 최초의 모바일 메신저는 아니었지만, 메신저 기반의 앱생태계 구축은 내가 알기로 전세계에서 가장 처음 이루어 냈던 카카오. 지금도 엄청나게 큰 회사임에 분명하고, MAU가 아닌 ARPPU로 비교하면 완전 다른 얘기겠지만, 저 그래프를 보면 글로벌 시장을 제대로 처음부터 공략했었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음. 물론 시도를 안했던 것은 아니고 여러가지 사정이 있었겠지만 (마케팅 비용의 한계 … Continue reading 글로벌 시장 중요성
지난주 스타트업 얼라이언스 주최로 열린 실리콘밸리 한국인 2016 행사 동영상 (임베드가 잘 안되는듯). 하고 싶은 이야기는 더 많았으나 시간 부족으로 다 하지 못함 (20분이라는 시간이 그렇게 짧은 시간은 아니었는데…) 좀더 하고 싶었던 이야기들, 그리고 내가 배웠던 노트들, 시간 나는대로 블로그에 올려보기! Continue reading 실리콘밸리 한국인 동영상
얼마전 후배로부터 들은 이야기. 우리나라에서는 여러 사람이 모인 자리에서, 만일 그 자리에 있는 다른 사람들이 좋은 대학을 나왔다는 확신이 별로 안 선다면, 설령 자기가 좋은 대학을 나왔다고 해도 그걸 조심스럽게 말을 하곤 한다는 것. 이를테면 어떤 사람이 포항공대를 나왔다고 치면, 몇몇 낯선 사람도 껴있는 어떤 자리에 갔을때, 포항공대 나왔다고 자신있게 말하는 대신 그냥 “네 저도 … Continue reading 겸양의 문화 vs. 마음의 여유
Lars Dalgaard: 덴마크 출신. 유럽에서 다국적 기업에서 높은 자리, 잘 나감. 미국으로 와서 Success Factors (기업용 HR 솔루션) 시작. 좋은 스펙에도 불구, VC 피치에서 73번 거절당함 갖은 역경을 딛고 회사를 10년이상 운영, SAP에 $3.6bn (대략 4조)에 매각 2013년부터 a16z 에서 VC Continue reading 팟캐스트 추천: Scaling Companies and Culture
클럽에 들어가는 방법 세가지. 1. 표를 사서 정문으로 들어가는것. 몇시간동안 줄서서 기다려야 할수도 있음.2. 관계자가 되어서 뒷문으로 들어가는것. 어찌 보면 가장 쉽지만, 아주 소수의 내부 관계자가 아닌이상 어려운 방법3. “제 3의 방법” — 이래저래 갖은 방법을 동원해서 비집고 들어가기. 담을 넘고 창문을 똑똑 두들겨서 누군가가 나올때까지 기다린 다음 도움을 요청하는 등.. 하여간 사파 무공을 발휘하고 … Continue reading 클럽에 들어가는 세가지 방법
책을 넷플릭스처럼 월정액으로 무제한으로 볼수 있게 해줬던 정액제 subscription 서비스 Scribd 가 최근에 가격 정책을 변경. 더이상 $10에 무제한으로 책을 볼수 있는게 아니라, 한달에 책 3권에 오디오북 1권으로 제한. (단, 일부 컨텐츠는 무제한으로 접속 가능함) 나도 이 서비스 쓰면서 월별로 비용을 내고 있었는데… 다시 생각해 봐야 할듯? 소위 말하는 섭스크립션 서비스 모델이 recurring revenue 예측에는 … Continue reading Scribd의 월정액제 중단
미국에서 가장 대표적인 웹툰을 꼽으라면 The Oatmeal 일듯. 이걸 보고 미국인들도 웹툰이라는 포맷에 그다지 거부감이 없구나 라는 것을 생각하게 됨. 처음에는 그냥 작가의 취미생활로 웹툰 몇개로 시작했던것 것이 지금은 미국 젊은층들의 상당수가 알고 있는 하나의 브랜드로 자리를 잡음. 그림을 아주 잘그리는 것은 아니지만 이야기가 너무 재미있고 대중들이 좋아하고 반응할 만한 주제를 정말 잘 찾아냄. 만화뿐 … Continue reading 오트밀
어느 분야든지 아주 획기적인 나머지 임팩트의 분야가 해당 산업분야를 넘어서는 제품이나 서비스들이 가끔 있다. 아이폰이나 픽사, 테슬라 등이 그 예. 해당 업계의 바깥에 있는 사람들에게도 케이스 스터디 꺼리를 던져주는 획기적인 launch 라고 할수 있음. 그런 분야중 하나가 Clash Royale 이라고 생각. 비 게이머인 나같은 사람도 돈을 쓰게 만들 정도로 강력한 in-game engagement 를 만들었고, 이번에 … Continue reading 클래시 로얄
행복과 마찬가지로, 성공도 그것 자체를 직접 따라가는 것이 아니다. 대신, 당신의 퍼포먼스를 완벽하게 해내는데 집중할것. 그러면 유명한 코치인 빌 월쉬가 얘기했듯, 점수는 알아서 올라갈 것이다.(Like happiness, you don’t pursue success directly. Instead, you focus on perfecting your performance, and as famous coach Bill Walsh says, “The score takes care of itself.”) 요새들어서 growth hacking 마인드셋이 … Continue reading 스코어는 알아서 해결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