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지도와 문화적 차이

오늘 이미지 검색을 하다가 평소 유심히 눈여겨 보지 않던 재미있는 것을 하나 발견. 구글에서 “world map” 등으로 이미지 검색을 하면, 거의 예외없이 아메리카 대륙이 왼쪽에, 아시아가 오른쪽에 위치한 지도가 나온다. 이래서 이들의 마인드는 미국과 유럽을 묶어서 “서방세계” 라고 부르는 걸까? 요새는 모르겠지만 우리가 교육받았을 때는 한국이 중심쯤 위치하고, 미국이 한국의 오른쪽 (동쪽) 에 위치한 지도를 … Continue reading 세계지도와 문화적 차이

곰보다 빨리 뛰기

두 친구가 캠핑을 하고 있었는데, 갑자기 곰이 나왔다. 그러자 한 친구가 신발을 갈아신었다.“지금 뭐하는 거야? 신발 갈아신는다고 해서 너가 곰보다 빨리 뛸수 있을것 같애?”“난 곰보다 빨리 뛸 필요 없고.. 너보다만 빨리 뛰면 되거든”   Steve and Mark are camping when a bear suddenly comes out and growls.  Steve starts putting on his tennis shoes.Mark says, … Continue reading 곰보다 빨리 뛰기

요새 근황

요새 몇달간 radio silence.몇가지 근황: 작년 중반부터 수익모델 개발을 위해서 팀과 열심히 개발중.  웹툰 모델은 usage 면에서는 계속해서 잘 가고 있음. 사용자, 컨텐츠, 트래픽 모두 빠르게 늘었고 우리가 봐도 꽤 아름다운 숫자들. 그러나 현재 달라진 시장 상황에서는 트래픽이 아닌 수익화 가능성을 보여주어야 하기에, 작년 중반 이후부터 수익모델쪽으로 집중. 우리가 구현하는 수익모델은 “카카오페이지” 모델, 즉 “기다리면 … Continue reading 요새 근황

우리에게 없는건 시간이 아니다

Time vs. Attention. 우린 늘 시간이 부족하다고 느낀다. 친구들에게도, 가까운 사람들에게도, 자녀들에게도, “정신없이 바쁘다”는 핑계로 “시간”을 못 냄에 대해서 못내 아쉬워하고 미안해 하기 일쑤다. 단위를 넓혀서 “삶”으로 보더라도 마찬가지다. 우리는 “시간”이 얼마나 쏜살같이 지나가는지에 대해서 소스라치게 놀라고, 시한부 선고를 받은 사람들은 삶의 말미에서 그들이 사랑하는 사람들과 더욱 많은 “시간”을 보내지 못했다고 아쉬워한다. 그러나 우리에게 부족한건 … Continue reading 우리에게 없는건 시간이 아니다

“남북통일 앞당길 생각 말고…”

최근 블로그를 잘 쓰지 못했다. 이유는 당연히 #1 너무 바빴고 정신없었음. 스타트업 열심히 하고 있고, 아이들 커가는것 도우면서.. 나름 굉장히 바삐 살고 있기에. 하지만 또하나의 이유는 한두달쯤 전에 뜬금없이 주말에 한시간쯤 투자해서 블로그를 개편해 보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었었기 때문. 이런저런 이유로 개인 호스팅 계정에 꼬박꼬박 돈을 내고 있는데 거기서 주는 1테라 용량중에 0.01%도 안쓰고 … Continue reading “남북통일 앞당길 생각 말고…”

시장을 “도시” 단위로 보기

시장을 국가단위로 보는것보다 “도시” 단위로 보는게 도움이 될때가 있다. 이를테면 미국시장이라고 해서 미국 지도 전체를 생각하는것보다는, 미국도 결국 (아래 그림에서 보다시피) 몇몇 도시에 사람들이 모여 산다는 것을 기억하고 도시 단위로 퍼질수 있는 모델을 생각해 보는것. Groupon, Uber, Airbnb등 미국 기업들도 론칭의 기본 단위로 “도시”를 생각함. 즉 어느 한 도시, 어느 한 지역에서 인기를 끌고 그 … Continue reading 시장을 “도시” 단위로 보기

왜 큰회사는 작은회사에 번번히 당하는가?

원문 특히나 기술기반 기업에서 큰 회사는 작은회사에 번번히 당하고 기회를 내주고 만다. 역사는 계속 반복. 왜 그럴까?  (아래 그래프 참고) 작은회사는 어떤 작은 한 점에서 더 나은 서비스와 프로덕을 제공하기 시작. 그런데 이 시장은 너무나 작아서 큰 회사는 이런 변화를 인지조차 하기 힘듬. 작은 곳에서 유저를 확보한 작은 회사는 계속적인 유저와 시장 요구사항을 만족하기 위해서 … Continue reading 왜 큰회사는 작은회사에 번번히 당하는가?

플랫폼 < 컨텐츠

원문: 여기  적어도 서비스 초기에는 컨텐츠가 서비스 밸류 증가에서 차지하는 몫이 너무나 크기 때문에 (아래 그래프 참고), 플랫폼 만든다고 진 다 빼지 말고 좋은 컨텐츠를 많이 확보하는 일에 집중하라는 얘기. 유저가 서비스에 들어왔는데, 이를테면 UI 전공자가 아닌 이상에야 UI가 좋아서 계속 들어오진 않을 거고, 좋은 컨텐츠가 많이 있다는 느낌을 받아야 다시 들어오고 계속 들어올 것. 그렇게 해서 … Continue reading 플랫폼 < 컨텐츠

스타트업이 빠지기 쉬운 5가지 함정

원문 1. 절대로 대상 시장, 유저에서 눈을 떼지 말것  2. 쓸데없는데 힘빼지 말것. 바퀴 다시 발명하지 말것.  3. 창업 초기부터 확실한 BM 확보  4. 경쟁사나 동종업계의 다른 회사로부터 늘 배울것  5. 본인 감정으로 사업하지 말것. 마켓으로부터 오는 시그널, 데이터 기반으로.  1. First, never neglect your target market. 2. Don’t try and reinvent the wheel if … Continue reading 스타트업이 빠지기 쉬운 5가지 함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