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아 시장

출처: Tech in Asia 동남아 시장이 우리나라에게 기회요소라는 것은 많은 분들에게 자주 들었다. 중국이 세계에서 가장 큰 시장이고 기회인것은 맞지만, 한국인들이 들어가서 사업하기 어려운 시장인 반면, 동남아 시장은 그나마 친 한국적이라고. 아래 그림에서 보듯.. 인구가 6억 5천만: 미국의 두배 이상, 상당수가 젊은층  인터넷, 스마트폰 아직도 30% 대 보급률  전자상거래 보급률 1.5% 미만  국민소득은 낮지만, 휴대폰 … Continue reading 동남아 시장

브루넬로 쿠치넬리 회장: 생산성을 유지하는 10가지 방법

“캐시미어 킹” 이라고 불리는 브루넬로 쿠치넬리 회장 (연매출 5000억원 가까이 되는 패션회사 운영) 이 생산성을 유지하는 10가지 방법. 나에게 와닿았던 몇가지만 간략히 포스팅. 낮에 열심히 일하고 밤에는 쉴것. (Work hard during the day, and then rest.) 우리 모두는 잘 자고 나서 그다음날 컨디션이 너무 좋고 생산성이 아주 높아진 것을 경험한 적이 있을듯. 문제는 어떻게 매일 … Continue reading 브루넬로 쿠치넬리 회장: 생산성을 유지하는 10가지 방법

사람의 크기

온 세계가 메이웨더와 패퀴아오의 “달리기 시합”을 지켜보던 날, IT 업계에 있는 사람들에게는 한가지 슬픈 소식이 날아들었다. 페이스북 COO이자 Lean In으로 유명한 쉐릴 샌드버그의 남편이자 서베이몽키라는 회사의 CEO였던 데이브 골드버그라는 분이 갑작스레 운명을 달리한 것.  (사인은 멕시코 휴양지에서 운동하다가 갑자기 돌아가셨다고.. 역시 우리는 내일 일을 모르는 것..) 그를 추모하는 많은 글들이 이어졌는데, 그중에 유명한 VC인 빌 … Continue reading 사람의 크기

빨래인가 유리창인가?

어떤 부부가 있었다. 맞은편 집에서 빨래를 해서 널때면, 아내는 늘 빨래가 깨끗하지 않다고 지적을 했다. 늘 뭐가 묻어있는 거였다. “빨래를 도대체 어떻게 잘못하길래 매일 뭐가 묻어있지?” 그러던 어느날 하루는, 맞은편 집에서 빨래를 해서 널었는데 드디어 아내가 보기에 깨끗한 빨래였다. 아내는 자기가 그토록 얘기를 해서, 건너편 집에서 이제서야 그 얘기를 들었나보다고 말했다. 이야기를 듣던 남편이 조용히 … Continue reading 빨래인가 유리창인가?

이 서비스나 제품의 시장 크기는 얼마나 되나요?

PC가 막 등장하던 무렵, 전세계 PC시장의  크기가 얼마나 될수 있을지를 예측하기 위해서 당시 투자가들은 그때 당시 존재했던 타자기 댓수를 참고자료로 삼았다는 이야기가 있다. 지금 생각하면 어떻게 일류 MBA 교육을 받은 똑똑한 벤처캐피털 투자가들이 그런 생각을 할수 있었는지 헛웃음마저 나오는 황당한 이야기지만, 지금도 우리는 기존에 존재하는 시장의 프레임을 가지고 새로운 서비스를 바라보는 실수를 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 Continue reading 이 서비스나 제품의 시장 크기는 얼마나 되나요?

UGC 저작툴

“바이두의 성공 요인: 미국에는 이미 웹상에 많은 컨텐츠가 존재해서 구글은 해당 정보와 컨텐츠를 모으는데 집중했지만, 바이두는 중국 사용자들로 하여금 새로운 컨텐츠를 제작하게끔 하는데 집중했던 것(… the main thing we did [differently] was UGC, or User Generated Content. This is a bit different from the American understanding of “search”: in our development phase we did not … Continue reading UGC 저작툴

툴 밸류, 네트워크 밸류

“툴 때문에 와서, 네트워크 때문에 머무르기 (Come for the tool, Stay for the network)”   – Chris Dixon 효과적으로 마켓플레이스 모델을 만드는 한가지 방법. 처음에는 1인칭으로 쓸수 있는 툴을 제공하고, 그렇게 툴을 쓰기 위해서 온 사람들끼리 커뮤니티/네트워킹을 할수 있도록 만들어 줌으로써 lock-in 시키기. 플리커, 유튜브 등등 그런 모델. Airbnb도, 서비스를 써봤던 사용자가 경험에 만족해서 Airbnb … Continue reading 툴 밸류, 네트워크 밸류

Mode Media 자료

Mode Media는 예전에 Glam Media로 불리된 회사. 매월 4억명 글로벌 UV 보유. 미국에선 최근 뉴미디어쪽에 투자가 몰리고 있는데, 주요 플레이어로는 Vice Media, Mode Media, Vox media, Buzzfeed, Business Insider 등이 꼽히고 있음. 이 회사의 About 페이지를 가보면 인터넷 기반의 뉴미디어 회사들이 어떻게 market disruption을 가져오는지에 대한 여러 insight를 얻을수 있음. 참고. Continue reading Mode Media 자료

실리콘밸리 스타트업 문화 보려면

얼마전에 샌프란시스코를 다녀가신 임정욱 대표님이 쓰신 글을 보고 문득 생각나서 퀵 포스팅. 실리콘밸리 창업문화를 가까이에서 볼수 있는 몇가지 방법들. HBO의 “실리콘 밸리” 시리즈  실리콘밸리에 오지 않아도 경험할수 있는것 (HBO 방송은 우리나라에 없지만 아마 DVD 등으로 시즌 1 구매 가능하지 않을까 함). 그동안 실리콘밸리의 스타트업 문화를 다룬 영화나 드라마들이 많았지만 다들 그저 그랬는데, HBO의 실리콘밸리 시리즈는 … Continue reading 실리콘밸리 스타트업 문화 보려면

부고 (eulogy)

돌아가신 분을 추억하는 부고(eulogy). 그 어떤 사람의 부고에도, 일에 대한 이야기는 거의 나오지 않는다. “그는 회사에서 중요한 딜을 성사시켜서 시장점유율을 15% 올리는데 공헌했다” 라든지, “그녀는 보통 회사에서 열다섯시간씩 일하곤 했고 결국 회사의 매출을 30% 가까이 올렸다”는 식의 말은 부고에 등장하지 않는다. 부고에는 그 사람의 업적이 아니라 그의 가장 인간적인 면과 성품이 언급된다. 심지어 우리가 알다시피 … Continue reading 부고 (eu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