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등석에 대한 단상

얼마전 마카다미아 회항으로 비행기 일등석 이야기가 많이 회자되었는데.. 1. 개인적으로 비즈니스석은 몇번 타본적 있어도 일등석은 한번도 타본 적이 없다. 일등석을 감당할 돈도 없지만, 돈이 아무리 많다 한들 도무지 내 머리로는 일등석이 경제적으로 make sense 하질 않는다. 한국-미국 왕복편 기준으로 이코노미석은 기껏해야 150만원 선일텐데, 일등석은 800-1000만원 정도 하는걸로 알고 있다. 겨우 12시간정도 비행하면서 소형 중고차 한대 … Continue reading 일등석에 대한 단상

경험 제공 오프라인 커머스

향후 몇년동안 사회를 근본적으로 바꿀 메가 트렌드가 무엇일까?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모바일/센서/IoT로 실물 세상이 모두 네트워크로 연결됨으로써, 온라인과 모바일이 오프라인까지 장악하는, 바로 그 변화일 것이다. 너무나 큰 변화인 나머지 장님이 코끼리 어디를 만지냐에 따라서 코끼리를 다 다르게 표현할수밖에 없듯, 뭔가 이름을 붙이기보다는 그냥 “코끼리” 라고 부르는게 낫겠다. 누군가는 빅 데이터라고, 누군가는 모바일이라고, 누군가는 IoT라고, 누군가는 O2O … Continue reading 경험 제공 오프라인 커머스

2014년 감사한 일?

스트롱 벤처스의 저녁 모임에 나갔는데, lunar new year (구정) 을 맞아서 2014년에 감사했던 일을 하나씩 말해보자는 얘기가 나왔다. 나는 생각끝에 농담반 진담반으로 페이스북 앱을 폰에서 지운게 감사한 일중 하나라고 얘기했다. 좌중 살짝 웃음. 그리고 난 곧바로 덧붙이길, 실은 내가 농담조로 말한 데는 더 깊은 의미가 있다는걸 알아달라고… 사실 페이스북이 “자랑하는 공간”이라는 부분이 큰데, 솔직히 2014년동안 … Continue reading 2014년 감사한 일?

요새 개인적인 페이스북 경험

개인적으로 페이스북을 메시징 이외에 거의 쓰지 않은지가 꽤 된듯 하다. 일단 모바일 앱을 지웠음. 모바일 앱을 깔아놓으니까 시간날때마다 페이스북만 하게 되는것 같아서 지웠더니, 페이스북을 쓰는 빈도수가 90% 가까이 줄었다. 이는 페이스북 모바일 앱이 얼마나 사용 중독성이 높은, 즉 재방문이나 engagement 지표의 측면에서 볼때 극강으로 잘만든 앱인지를 보여주는 반증^^. 그러나 메신저는 이메일 대용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서 … Continue reading 요새 개인적인 페이스북 경험

서비스 사용성 지표에 대한 기준들

요새 이쪽 동네에서 자주 나오고 있는 이야기가 서비스 사용성 지표에 대한 고찰이다. 소위 “vanity metrics” — 우리말로 하자면 외부에 보여주기 위한 지표들 — 이라고 할만한 것들, 이를테면 방문자, 페이지뷰, 회원수, 앱 다운로드수.. 이런 절대 지표들에 대한 이야기들이다. Medium.com 창업자인 Ev William의 글을 보면, 기존의 페이지뷰 모델이 서비스의 한 면만을 보여주는 제한된 지표라는걸 지적하고 있다. 페이지뷰라는 … Continue reading 서비스 사용성 지표에 대한 기준들

잘 하려면, 먼저 그것을 하라.

(에덴하우스라는 요양시절에 걸려있는 슬로건인) “인생의 해답을 찾고자 하는가? 그렇다면 인생을 치열하게 살아라” (의역) 라는 슬로건은, 데이빗 카 (David Carr)가 다른 저널리스트들에게 했던 유명한 조언을 생각하게 했다. “(좋은 글을 쓰고 싶다면) 글이 써질때까지 타이핑을 해라.” 인생을 어떻게 살지 모른다면, 열심히 삶을 살아내어 가라. 어떤 글을 써야 할지 모른다면, 열심히 타이핑을 하라.   That slogan – “The answer … Continue reading 잘 하려면, 먼저 그것을 하라.

미국 10대들의 SNS에 대한 최근 반응

미국의 소셜 서비스에 대한 각종 “인더스트리 글”은 많지만, 실제 사용자 입장에서, 특히 10대 유저가 자신과 친구들이 느끼는 바를 정리한 포스트는 많지 않은듯. 그런 의미에서 소셜 서비스에 대해서 미국의 실제 10대 유저가 어떻게 느끼는지를 보고 싶은 분들은 이 글을 보면 도움이 될듯. 물론 유저 한명의 생각일 뿐이라는 점을 염두에 둘것. Part 1  Part 2 정리:  페이스북: … Continue reading 미국 10대들의 SNS에 대한 최근 반응

a16z의 16가지 관심테마

실리콘밸리에서 가장 영향력있는 VC 중 하나인 Andreessen Horowitz (줄여서 “a16z”) 에서 발표한, 16가지 관심 주제. 여기에 가면 볼수 있음. 각각의 주제별로, 파트너들이 예전에 썼던 블로그 글 등이 링크되어 있음. 실리콘밸리의 리딩 VC중 한곳이 어떤 분야에 관심을 갖고 있는지 간접적으로나마 볼수 있는 기회. 참고로 a16z 한 회사가 작년에 신규로 raise했던 4호 펀드가 1조 5천억원 규모, 총 … Continue reading a16z의 16가지 관심테마

비타민 vs. 페인킬러

“스타트업은 비타민이 아닌 페인킬러를 만들어야 한다는 말이 있다. 하지만 이게 꼭 진리일까? 페인킬러 비즈니스는 진짜로 흥미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만들어내진 못한다. 많은 회사들이 페인킬러 비즈니스를 만들고, 때로는 성공을 거두고 때로는 성공을 거두지 못한다. 하지만 진짜 흥미로운 회사들은 비타민을 만든다. 사용자들조차 자신들이 필요로 했다는 것을 모르는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를 만들어 내면, 이전에 생각하지 못했던 새롭고 흥미로운 아이디어들이 … Continue reading 비타민 vs. 페인킬러

CEO의 성장

“사업을 시작한 이후 개인적으로 매일매일 성장하고 있다는 생각을 하지만, 2014년은 그 성장의 폭이 가장 적었던 해였습니다. 회사는 꽤나 성장했지만 제가 연초에 세웠던 계획만큼 성장하지 못했다는 것을 깨닫고 이 이유에 대해 다각도로 분석해보았고, 그 중심에 제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회사는 성장을 하며 그에 맞는 역량을 가진 CEO를 필요로 하는데 제가 그만큼 성장하지 못하며 회사 성장의 병목이 … Continue reading CEO의 성장